정치
'피 나눈 형제' 튀르키예, 원전·방산·인프라 '통 큰 선물' 안겼다
2025.11.25. 오후 04:55
이재명 대통령이 튀르키예 국빈 방문을 통해 원자력과 방위산업, 인프라를 아우르는 폭넓은 경제 협력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앙카라 대통령궁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튀르키예가 추진 중인 대규모 원자력 발전소 사업에서 한국이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합의는 단순한 협력 의사를 넘어, 향후 수십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원전 사업 수주 경쟁에서 한국이 경쟁국들을 제치고 한발 앞서 나갈 수 있는 결정적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중대한 외교적 성과로 평가된다.이번에 체결된 원자력 협력 양해각서의 핵심은 한국전력이 튀르키예 시놉 제2원전 사업의 '초기 단계'부터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이다. 통상적으로 국제 원전 입찰은 사업이 구체화된 후 여러 국가가 경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이번 MOU를 통해 한국은 사업의 첫 단추라 할 수 있는 부지 평가 단계부터 깊숙이 관여하게 됐다. 원자로 기술은 물론, 규제 및 인허가, 금융 모델 구상, 프로젝트 이행 전반에 걸쳐 양국이 긴밀히 협력하기로 약속함에 따라, 사실상 한국을 핵심 파트너로 염두에 두고 사업을 구체화하겠다는 튀르키예 측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우수한 원전 기술과 안전 운영 역량이 튀르키예 원전 개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고, 에르도안 대통령 역시 "중요한 진전"이라며 화답했다.

양국의 협력은 원자력을 넘어 'K-방산'과 인프라 분야로까지 확장됐다. 특히 에르도안 대통령은 한국의 흑표 전차(K2) 기술을 이전받아 개발한 튀르키예의 차세대 주력 전차 '알타이'를 직접 언급하며, "이 분야의 공동 프로젝트를 더욱 다양화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양국 간 방산 협력이 단순한 무기 거래를 넘어 공동생산과 기술 이전을 통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와 함께 튀르키예 도로청과 한국도로공사,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3자 간 도로 인프라 협력 MOU도 체결되어, 향후 튀르키예가 발주할 대규모 민관합작투자(PPP) 도로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들이 대거 참여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했다.
이번 순방은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피를 나눈 형제국'으로서 양국의 역사적 유대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튀르키예의 국부로 추앙받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초대 대통령의 묘지를 찾아 "피를 나눈 형제국의 공동 번영을 위해 함께 나아가겠다"는 내용의 방명록을 남겼다. 또한 한국전쟁 참전 용사에 대한 예우를 확대하고 후손 간 교류를 늘리는 내용의 보훈 협력 MOU를 체결하며, 굳건한 양국 관계의 역사적 뿌리를 되새겼다. 이 대통령은 이번 중동·아프리카 4개국 순방의 마지막 일정으로 25일 한국전 참전 용사 묘소에 헌화하고 동포들과 만난 뒤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