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청래 ‘셀프 연임’ 길 닦나…‘1인 1표제’ 강행에 당내 권력 지형 ‘요동’

2025.11.21. 오후 06:34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의 권력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승부수를 던졌다.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가치를 동일하게 만드는 ‘1인 1표제’ 도입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 절차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것이다. 정 대표는 이를 ‘완전한 당내 민주주의 실현’이자 ‘당원 주권시대’로 나아가는 역사적 발걸음이라고 규정하며, 당원 한 사람 한 사람의 뜻이 존중받는 정당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이러한 명분 아래, 지난 19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당원 의견 수렴 투표 결과를 발판 삼아 개혁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번 개정안 추진의 동력은 당원 투표에서 확인된 압도적인 찬성 여론이다. 전체 투표율은 16.81%로 비교적 저조했지만, 투표에 참여한 당원 중 86.81%가 1인 1표제 도입에 찬성표를 던졌다. 정청래 대표는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결과를 근거로 “대한민국 어느 조직에서도 1인 1표라는 헌법의 평등 정신을 위배해서는 곤란하다”고 강조하며, “민주당도 이제 헌법 정신에 뒤늦게나마 발맞출 필요가 있다”고 개정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러한 당원들의 뜻을 받들어 오는 24일 당무위원회를 열어 당규를 개정하고, 28일에는 중앙위원회를 소집해 최종적으로 당헌 개정을 마무리 짓는다는 구체적인 로드맵까지 제시한 상태다.

 


당헌·당규 개정이 현실화되면 1990년대부터 이어져 온 민주당의 대의원제는 사실상 무력화될 전망이다. 지난 8·2 전당대회를 기준으로 대의원 1표는 권리당원 약 17.5표의 가치를 지녔지만, 앞으로는 대의원과 권리당원 모두 동등한 한 표만을 행사하게 된다. 이는 당내 권력 지형의 대격변을 예고하는 동시에, 내년 8월로 예정된 차기 당 대표 선거의 향방을 가를 결정적 변수로 꼽힌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개정이 두터운 강성 당원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는 정청래 대표의 연임을 위한 전략적 포석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권리당원의 표심이 당락을 좌우하는 구조가 만들어지면, 정 대표가 당권을 재창출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당 대표의 연임 가도 구축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다른 최고위원들은 내년 지방선거를 향한 각자의 행보를 준비하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차기 경기도지사 출마를 고심하고 있다는 의사를 내비쳤으며, 김병주 최고위원과 전현희 최고위원 역시 각각 유력한 경기도지사와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당권 재편을 둘러싼 역학 구도와 차기 지방선거를 향한 지도부 인사들의 각기 다른 정치적 셈법이 맞물리면서, 민주당의 내부적인 움직임은 한층 더 복잡하고 역동적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영상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