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소식
"오키나와는 일본 땅 아니다"…中, 일본 최대 아킬레스건 정조준
2025.11.17. 오후 05:25
일본 총리의 타이완 관련 발언 한마디에 중국이 '오키나와는 일본 땅이 아니다'라는 강력한 카드를 꺼내 들며 동북아시아에 또다시 역사와 영토를 둘러싼 전운이 감돌고 있다.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 소유의 관영매체 차이나데일리는 지난 15일, "류큐(琉球)는 일본이 아니다"라는 도발적인 제목의 보도를 내보냈다. 오키나와의 옛 이름인 류큐를 전면에 내세워 일본의 오키나와 영유권 자체를 문제 삼고 나선 것이다. 해당 보도는 오키나와 현지 취재 형식을 빌려, 일본의 주장에 대한 현지인의 반대 목소리를 담아냄으로써 주장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치밀한 의도를 드러냈다. 홍콩 명보 등 중화권 매체들이 이를 일제히 인용 보도하면서, 중국 당국의 의중이 담긴 여론전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이번 보도의 핵심은 오키나와 출신 평화 활동가 로버트 가지와라의 인터뷰에 담겨 있다. 그는 "1879년 일본은 류큐를 침략해 강제로 합병하고 오키나와현으로 개칭했다"며 "이는 류큐 식민지화의 시작이었다"고 주장, 일본의 오키나와 지배가 역사적으로 정당성이 없음을 역설했다. 특히 그는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최근 타이완 유사시 군사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것을 두고 "중국과 일본 간에 전쟁이 나면 류큐에 주둔하는 일본군이 주요 공격 대상이 되어 류큐에 큰 재앙을 초래할 것"이라며 깊은 우려를 표했다. 이는 중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동시에, 미군 기지가 집중된 오키나와 주민들의 안보 불안을 자극하며 일본 정부와 현지 주민 간의 갈등을 유도하려는 다분히 전략적인 발언으로 해석된다.

중국이 오키나와 영유권 문제를 꺼내 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중국은 역사적으로 '류큐 왕국'이 명·청 시대에 걸쳐 중국에 조공을 바치던 번속국이었으며, 1879년 일본에 강제 병합될 당시 청나라가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일관되게 펼쳐왔다. 청일전쟁 패배로 인해 류큐의 주권을 되찾을 힘을 잃었을 뿐, 본래 중국의 영향력 아래 있던 영토를 일본에 부당하게 빼앗겼다는 인식이 그 기저에 깔려 있다. 이러한 주장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과 맞물려, 일본이 타이완 문제에 개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때마다 중국이 사용하는 '압박용 카드'의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결국 중국의 '류큐 카드'는 일본의 가장 민감한 부분을 건드려 타이완 문제에서 손을 떼게 하려는 고도의 외교적 전략인 셈이다. 이러한 전략은 최고 지도자의 발언을 통해 꾸준히 강화되어 왔다. 실제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3년 6월, 국가판본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오키나와 사신록을 언급하며 "과거 푸젠성과 오키나와의 교류 역사가 깊다"고 발언했고, 관영 매체들은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분위기를 조성한 바 있다. 다카이치 총리의 '타이완 개입' 발언을 빌미로 중국이 또다시 오키나와의 역사적 위상을 문제 삼고 나서면서, 미중 패권 경쟁의 파고 속에서 타이완을 둘러싼 양국의 날 선 신경전은 이제 일본의 영토 문제로까지 전선을 확대하며 한층 더 격화되고 있다.









